위키 사용법

무들의 위키 기능은 WikiWikiWeb에서 파생된 ErfurtWiki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. 이를 통해 간편하게 공동체 웹페이지를 생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.

새 페이지 만들기

기존 문서에 나타난 단어를 이용하여 새 페이지를 만든다. 위키 페이지는 CamelCase를 이용하여 이름을 짓거나 네모 괄호( [ ] )를 이용하여 이름을 짓는다.

예를 들어:

위키 페이지에 쓰여진 단어 끝에 '?'가 붙을 경우가 있을 수 있다. 이 때 '?'를 클릭하면 해당 내용에 대한 편집 모드로 들어가게 된다. 이 때 내용을 입력한 후 저장하면 새 위키페이지가 만들어진다.

Wiki Markup:

만일 여러분이 일반적인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WYSIWYG 기능의 HTML편집기를 사용한다면 입력 내용의 틀을 잡기 위해서는 편집기에 내장된 기능을 사용해야만 할 것입니다. 그렇지 않다면 (편집창이 일반적인 문서 작성만 할 수 있을 뿐이고 여타의 특별한 기능이 없을 때) 다음에 나오는 위키 문법을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. 이러한 기능들은 WYSIWYG 편집기를 사용할 때는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.

문단구분

!! 표제

글자의 장식

목록

하이퍼링크

|로 테이블 만들기

테이블 만들기는 매우 간단 세로 막대(|)를
칸으로 나눌 곳에 놓으면 됨
중간에 빈 칸이 있어도 자동으로 알아서 만들어 줍니다

테이틀표를 만들 때는 항상 앞,뒤에 한 줄씩을 띄어두기 바랍니다. 그래야 다른 문장과 구별된다는 것을 위키에게 일러줄 수 있습니다.

그림

참고 자료

위에서 언급한 것 이외에도 많은 위키표식이 있습니다. 이를 보시고 싶으시면 Erfurt Wiki Homepage 를 참조하세요.
Camel Case:

CamelCase는 위키단어를 작명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입니다. (영어에서)여러 단어를 공백없이 연결하여 새로운 말을 만드는 방법입니다. 예를 들면 open source 에 대한 내용을 나타내는 위키페이지의 이름(위키단어)은 OpenSource 로 붙일 수 있는데 이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마치 낙타의 혹모양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
이렇게 만든 단어를 간혹 울퉁불퉁문서(BumpyText)라고도 합니다.

비록 언어 순화론자들은 위키의 이러한 작명법을 싫어하지만,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이나 대다수의 프로그램 작성자들 한테는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법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