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는 각 문항의 수행정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지수이다. 이는 퀴즈의 각 문항에 대해 그 문제를 맞춘 총 성적 상위 1/3의 학생 숫자를 문제를 맞춘 하위 1/3의 학생수로 나누어 계산한다.
예를 들어 30명의 학생이 퀴즈를 풀었다고 치면 총 성적 1/3의 상위권에 속하는 인원은 10, 하위 1/3의 학생수도 10명이 된다. 만일 문제1번을 상위권 학생 9명이 맞췄고, 하위권 학생 3명이 맞췄다면, 변별도 지수는 9/3 = 3.0 이다. 여기서 괄호안의 숫자는 (상위 1/3의 정답수 / 하위 1/3의 정답수) 를 나타낸다.
만일 지수가 1.0 이하로 내려가면 이는 못하는 학생들이 잘하는 학생들보다 더 잘 맞추는 문항이다. 그러한 문항들은 쓸모없어서 폐기되어야만 한다. 사실 그런 문항들은 전체적으로 보면 퀴즈의 정확성을 감소시킨다.
만일 못하는 학생들이 어떤 문항을 하나도 못 맞췄다면 식에서 분모부분이 0가 되기 때문에 무한대의 값이 나온다. 그런 문항의 경우 프로그램은 "10"으로 치환되도록 하였다.